게스트님

환영합니다

[서평이벤트 마감] 몸이 나를 위로한다2021-10-26 18:25:20

몸의 모성으로 나를 돌보는 12가지 몸챙김의 지혜

"마음이 아프다고 말하지 못할 때, 몸이 대신 아프다고 말한다"

 

* 응모기간 : 10/26 ~11/2

* 당첨발표 : 11/3

* 서평 작성 기한 : 도서 수령 후 2주

* 인원 : 10명

* 응모방법 : 해당 페이지에서 신청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서평단 필수 미션※

1. 개인 SNS 업로드 필수태그(#책제목 #교보북살롱주니어)

2. 평소 이용하는 온라인서점 2곳 이상에 별점 및 후기 업로드

 

 

도서소개

 

“마음이 아프다고 말하지 못할 때, 몸이 대신 아프다고 말한다.”

 

미국공인무용동작치료사가 들려주는 치유하는 몸 이야기 저자는 오랫동안 마음의 고통을 몸으로 표현해왔다. 고질적인 위장장애는 불편한 감정을 회피한 대가로 얻은 몸의 통증, 즉 감정소화불능증이었다. 심리적 문제가 신체증상으로 표현되는 이러한 현상을 ‘신체화(somatization)’라고 한다. 마음의 고통을 말할 수 없으면 몸의 통증으로 드러난 다는 의미다. 어쩌면 몸의 기억은 생각보다 더 강력하다. 특히 외롭고 불안하고 분노했던 감정은 더 강렬하게 몸속에 저장되고 기억된다. 아무리 머리로 풀어내려 해도 번번이 실패하고, 그럴수록 상처의 기억을 차단하고 숨길 뿐이다. 저자는 과거의 상처가 여전히 현재의 삶을 가로막고 있다 면 “이제는 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신체심리치료사로서 저자가 몸을 기반으로 마음을 돌보고 치유하는 12가지 몸에 관한 이 야기다. 일반적인 심리 상담이 말의 언어로 자신의 마음을 탐색한다면, 신체심리치료에서는 마음 을 알아가기 위해 ‘몸’의 언어를 사용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느끼는 불안, 우울, 분노와 같은 감정은 가장 먼저 ‘몸’으로 나타난다. 몸은 마음이 살고 있는 실체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 어 불안하면 몸이 경직되고, 우울하면 몸은 무기력해진다. 또, 화가 나면 몸이 압력솥처럼 끓어오 르기도 한다. 따라서 타인과 소통하기 위해 말이 필요하다면, 나 자신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몸을 감각할 수 있어야 한다.

 

몸의 감각을 회복하는 것은 결국 나를 되찾는 일 

 

저자는 어린 시절 ‘착한 아이’였다고 고백한다. 착한 아이는 엄마가 우울하면 자신도 우울했고, 엄마가 불안하면 아이 자신도 불안했다. 이처럼 부모의 정서를 대신하며 아이가 부모를 살피고 돌보는 것을 심리학에서 ‘부모화된 아이(Parenting child)’라고 한다. 아이가 아이답게 자라지 못 하고 부모 역할을 대신하게 되면서 아이의 심리적 독립은 어려움에 직면한다. 부모의 정서를 살 피느라, 정작 자신의 정서를 돌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자기만의 감각과 감정의 상실로 이 어질 수 있다. 흔히 자기만의 감각이나 감정을 잘 알아차리지 못하고, 남의 감정에 쉽게 동화되는 경우가 바로 그런 지점에 있다. 저자가 강조하는 심리적 독립이란 ‘몸의 경계(Boundary)’를 아는 것이다. 내 몸을 오롯이 감각 할 수 있을 때, 나의 감정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한 몸’ 이슈에서 벗어나야 감정적 동일시에서도 해방될 수 있다고 말한다. 나와 상대의 몸이 다르듯이, 나의 감정과 상대의 감정 또 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할 때, 심리적 독립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몸의 감각을 회복하 는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을 되찾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안정감을 주는 몸의 거리는?

 

저자는 몸과 몸 사이에도 거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특히 가까운 관계일수록 그 거리가 더 중요 하다. 몸의 경계가 있어야 자신을 보호할 수 있고, 타인의 심리적 경계도 침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안정감을 주는 몸의 거리가 확보될 때, 타인과의 교감과 공감도 가능해진다. 그렇다면 대 인관계에서 안전한 사적 거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저자는 사적인 관계에서 자신의 진짜 속마 음을 알고 싶다면 몸의 좌표로 돌아와야 한다고 말한다. 그 몸의 좌표 중 하나로 ‘심장에 귀 기 울려보기’를 제안한다. 함께 있을 때 심장이 편안한 상태라면, 안전한 거리를 확보하고 있다는 방증인 셈이다. 결국 안정감을 주는 몸의 거리란 서로에게 ‘숨 막히는 거리’가 아닌 ‘숨 쉴 수 있는 거리’라고 할 수 있다.

 

 

“응시와 온기, 손길과 눈길 … 몸으로 사랑받았던 기억이 있으면 어떤 상황에도 무너지지 않는다.”

 

엄마품은 가장 안전한 심리적 보호막 아기는 태어나면 엄마의 사랑을 ‘몸’으로 받는다. 엄마와 아기는 서로의 몸을 느끼면서 안정감 과 유대감을 형성한다. 엄마의 젖을 빨고, 엄마와 눈빛을 주고받으며, 엄마의 냄새를 느끼면서 아 기는 자기 몸을 느끼고 감각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 엄마가 먹이고, 입히고, 씻기고, 안아주고, 토 닥여주는 모든 과정이 돌봄이자 사랑이다. 이처럼 몸으로 사랑받았던 기억은 아이의 몸으로 새겨 지고, 이후 삶을 살아가는 데 중요한 심리적 보호막으로 작용한다. 정신분석가 디디에 앙지외는 “자아는 피부이며, 우리는 누군가 자신의 피부를 만지는 것을 느끼고, 내가 누군가의 피부를 만 짐으로써 처음 자신을 발견한다”고 말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고통의 근원은 ‘엄마품’의 상실에 있다. 여기서 엄마품은 실제 엄마라기보다 돌봄과 양육을 제공하는 사랑의 실체로서 ‘몸의 모성’을 말한다. 마음이 힘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관념적인 말이 아니라, 누군가의 손길이나 온기와 같은 몸의 접촉이다. 따라서 고통의 치유도 엄마품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저자는 우리 안에 이런 몸의 모성(엄마품)이 있을 때, 어떤 외부 상 황에도 무너지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에서는 엄마품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자기-접촉 (self-touch)’과 ‘자기-안아주기(self-hug)’를 제안한다.

 

“몸을 챙기는 것이 삶을 챙기는 것이다”

문요한 작가가 추천하는 책

 

문요한 작가가 추천하는 책 이 책은 몸이 신체적 건강은 물론, 정신적 건강의 회복과 치유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를 보여준다. 이제 몸은 치유의 주체로서 새롭게 인식되어야 한다. 몸은 껍데기도 아니고 마음의 하부기관도 아닌, 그 자체로 인격체이자 죽을 때까지 함께 살아가는 삶의 동반자이기 때문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는 제대로 숨 쉬기조차 힘든 시간을 살고 있다. 이제 목청껏 노래를 부 르거나 온기를 전하는 피부접촉은 위험한 일이 되었다. 몸이 격리되고, 몸에 갇힌 시대를 살고 있 는 우리들에게 저자는 다시 한 번 엄마품이 주는 ‘몸의 모성’을 강조한다. 몸이 주는 위로와 치유가 분명 삶의 전환점을 열어준다고 확신한다. 몸이 움직이면 감각이 달라지고 마침내 삶도 바뀐다. 문요한(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작가 역시 “몸챙김(bodyfulness)이 이루어지면 마음챙김 (mindfulness)이 이루어지고, 마음챙김(mindfulness)이 이루어지면 삶챙김(lifefulness)이 이루어진 다”며 이 책을 추천했다.

 

 

남희경 지음 

 

몸으로 마음을 치유하는 18년차 심리치료사. 우울했던 어린 시절, 우연히 춤을 만나서 침묵 속에 빠져 있던 몸의 감각이 생생하게 깨어나는 체험을 했다.

이후 춤은 은신처이자 치유였고 구원이었다. 이런 춤에 대한 열망으로 한양대학교 무용학과에 들어갔다. 몸의 심리와 치유에 대한 멈추지 않는 열정으로 2001년 미국 유학을 떠났고, Antioch New England Graduate School에서 무용동작치료 전공 및 상담심 리 부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뉴욕의 정신과 병동에서 정규직 심리치료사로 임상을 시작했고, 미 국공인무용동작치료전문가(BC-DMT), 뉴욕주공인예술치료 면허(LCAT), 미국공인상담가(NCC) 자격증을 취득했다.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명지대학교 예술심리치료학과 겸임교수와 대한 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의 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교육자, 연구자, 상담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에서 오센틱무브먼트, 심층심리학 기반 예술치료, 동작치료 워크숍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깊이 탐구해나가는 다양한 이들을 만나면서 그들과 함께 성장해나가고 있다.

첨부파일 : 202143/1635240320_0.png

이벤트 당첨자
  • 성장나무
  • 김윤수
  • 김숙경
  • 우츄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