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스트님

환영합니다

[서평이벤트]책의정신2022-05-30 17:48:14

한국출판평론상 대상을 수상한 『책의 정신』의 개정 증보판이다. 포르노소설이 프랑스대혁명의 지적인 기원의 하나이고, 포르노소설이 프랑스

공자의 『논어』나 소크라테스의 『변명』이 당시 지배계급의 통치도구 역할을 했으며, 연구를 위한 연구를 위해 아이의 성별을 바꾸기도 했다는 이야기 등은 고전이 이데올로기의 산물이라는 실체를 밝히고, 곧 무너질 바벨탑일 수도 있음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고전이라고 해서 무조건 읽어야 하는 건 아니다. 고전이라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다. 

이 책을 통해 고전의 기준을, 좋은 콘텐츠의 기준을 다시금 이야기할 수 있는 마당이 펼쳐지길 바란다.

 

 

 

* 응모기간 :5/30~6/6

* 당첨발표 : 6/7

* 서평 작성 기한 : 도서 수령 후 2주

* 인원 :10명

* 응모방법 : 해당 페이지에서 신청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서평단 필수 미션※

1. 개인 SNS 업로드 필수태그(#책제목 #교보북살롱)

2. 평소 이용하는 온라인서점 1곳 이상에 별점 및 후기 업로드 후 카페 게시글 댓글에 링크 작성

 

 

 

도서소개

 

 


 

우리는 고전을 어떻게 만들고 소비하는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고전을 “오랫동안 많은 사람에게 널리 읽히고 모범이 될 만한 문학이나 예술 작품”이라 정의한다. ‘현대인이라면 읽어야 할 문학 고전’, ‘OO대학교 대학생 권장도서’, ‘CEO 추천도서’, ‘일생에 한 번은 읽어야 할 고전’ 등 한국 사회에서 고전 읽기를 권하는 프로그램은 시대별, 연령별, 직종별로 다양하다. 너무나도 선량하고 부지런한 시민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든 사람의 취지에 발맞춰 성실하게 고전을 읽어내기 위해 다양한 묘수를 고민한다. 고전의 내용으로 퀴즈를 만들어 맞추면 상품을 주고, 혼자 읽으면 힘들 테니 함께 읽자고 고전 읽기 모임을 권하며, 부르주아 계급 등용문의 시험문제로 고전을 활용한다. 

 

그러나 고전을 무작정 읽기 전에 왜 고전을 읽어야 하는지, 고전이 누구를 위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듯하다. 바쁘디바쁜 현대사회에서 근본을 묻는 일은 사치일지 모른다. 하지만 읽어야 할 필요가 없는 고전을 읽느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면, 고전을 읽어야만 한다는 강박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그것이 옳은 것인지 한 번쯤은 생각해보아야 하지 않을까?


 

포르노소설부터 『논어』와 『변명』, 그리고 우생학까지, 

고전을 만든 시대와 사람에 관한 진실 파헤치기

 

 

『책의 정신』에서는 프랑스대혁명의 지적 기원으로 작용한 포르노소설, 출간 당시 너무 어려워서 읽을 수 없었던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지배계급의 생각을 대중에게 전파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된 공자의 『논어』와 소크라테스의 『변명』, 학자로서의 입지를 굳히기 위한 수단으로 연구에 희생된 아기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에서 우생학을 떠올린 지리학자 골턴 등 고전이라 알려진 책에서 소개하는 지식과 정보에 관한 소문을 추적하고 진실을 파헤친다. 

 

본문 중간중간에 담긴 삽화와 그에 대한 일화는 책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우며, 부록에 담긴 참고문헌에서는 고전을 읽기 위한 고전을 소개하는 것이 아닌,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책 읽기에 필요한 책과 영상물을 정리했다.

 

이 책은 소개된 고전을 나쁘다고 말하려는 게 아니다. 읽기 싫은 책을, 읽을 필요가 없는 책을,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 내 생각을 바꾸게 만드는 책을 무조건 수용하며 억지로 읽는 것이 옳을까에 대해 생각해보길 권하려는 것이다.


 

지금 많은 사람이 읽어야 할 고전을 다시 묻는다

 

“아무리 좋은 약이라고 해도 누구에게나 좋을 수는 없다. 특정 시점의 나에게 좋은 약이 있을 뿐이다. 나에게 맞지 않으면 독약이 될 수 있다. 그러니 고전을 꼭 읽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고 해도 내가 잘 소화하고 받아들이면 최고의 약이 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내가 읽고 싶은 책이라면 무엇이든 상관없다.” 

 

 

책에는 신기한 힘이 있다. 한 아름 안고 있던 고민이 단번에 해결되기도 하고,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누군가의 생각의 바탕까지 이해할 수 있게 되기도 하며, 소중한 추억의 향을 더 짙게 만들어주기도 한다.

 

반면, 고전에는 우리를 통치하려는 자들이 우리의 머릿속에 심고 싶은 말과 행동이 담겨 있다. 안타깝게도 고전을 읽기 힘들어하는 우리는 통치하려는 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안달이 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렇다면, 몇백 년 전 사람들이 고전이라 일컬어온 책을 현대사회의 우리가 고전이라 받아들이며 읽기를 강제해야 할까? 급변하는 시대와 사람들 틈에서 몇백 년 전 고전을 읽으며 지식을 논하는 일이 무의미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다만, 고전을 정의하고 그것을 만든 시대와 사람의 욕구를 우리가 충족시켜준들 우리에게 더 나은 변화가 있을지에 대한 의문은 남는다. 그 답에 우리가 이 책을 톺아보아야 할 이유가 있다. 

 

강창래

 

20년 넘는 출판 편집기획자와 대학 강사 생활을 거쳐 지금은 다방면의 글을 쓰며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 중인 요리 에세이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인문 분야 스테디셀러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글쓰기의 원칙을 타파하는 비법서 『위반하는 글쓰기』 등을 썼다. 그의 책은 어려운 주제라 해도 쉽고 재미있게 잘 읽히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출판 편집자 시절에는 고스트 라이터, 윤문 전문가로 활약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건국대학교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에서 강의했고, 느티나무 도서관재단에서 글쓰기를 가르쳤다. 

 

 

 

 

첨부파일 : 202222/1653900494_0.jpg

이벤트 당첨자
  • 정은숙
  • 설레는책향기
  • 키얀티
  • 싱클레어
  • 별B612호